서봉총 재발굴 통해 신라 왕족의 호화 식생활 확인
상태바
서봉총 재발굴 통해 신라 왕족의 호화 식생활 확인
  • 정은진
  • 승인 2020.09.08 09: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주 서봉총의 재발굴에서 돌고래, 성게, 복어 등 확인
경주 서봉총 남분 큰항아리 내부 동물 유체 발견 모습 (사진=국립중앙박물관)
경주 서봉총 남분 큰항아리 내부 동물 유체 발견 모습 (사진=국립중앙박물관)

 

립중앙박물관은 일제가 조사한 경주 서봉총을 2016년부터 2017년까지 재발굴한 성과를 담은 보고서를 간행했다.

 

경주 서봉총은 사적 제512호 경주 대릉원 일원에 있는 신라 왕족의 무덤 하나로 서기 500년 무렵에 만들어졌다. 서봉총은 두 개의 봉분이 맞닿은 형태인 쌍분으로, 북분은 1926년에, 남분은 1929년에 각각 발굴됐다.

 

서봉총은 금관을 비롯해 다수의 황금 장신구와 부장품이 출토되는 등 학술 가치가 빼어난 무덤임에도 불구하고 당시 일제는 발굴보고서를 간행하지 못했다.

 

이후 국립중앙박물관은 2014년 서봉총 출토품 보고서를 간행하고, 2016부터 2017년까지 서봉총을 재발굴한 후 이번에 그 성과를 담은 유적 보고서를 발간했다.

 

국립중앙박물관의 재발굴은 일제가 밝히지 못한 무덤의 규모와 구조를 정확하게 확인하는 성과를 거뒀다. 일제는 북분의 직경을 36.3m로 판단했으나 재발굴 결과 46.7.m로 밝혀져 당시 조사가 잘못되었음이 드러났다.

 

또 서봉총의 무덤 구조인 돌무지덧널무넘의 돌무지는 금관총과 황남대총처럼 나무기둥으로 만든 비계 틀을 먼저 세우고 쌓아 올렸음이 최초로 확인됐다. 무덤 둘레돌에 큰항아리를 이용해 무덤 주인공에게 음식을 바친 제사 흔적도 고스란히 발견됐다.

 

이번 재발굴을 통해 당시 신라에서는 무덤 주인공을 위해 귀한 음식을 여러 개의 큰항아리에 담아 무덤 둘레돌 주변에 놓고 제사를 지낸 것을 발견했다.

 

이러한 제사는 일제강점기 조사에서도 확인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삼국사기삼국유사같은 역사기록에도 나오지 않기 때문에 학계에서도 큰 주목을 받고 있다.

 

복어 동물 유체 (사진=국립중앙박물관)
복어 동물 유체 (사진=국립중앙박물관)

 

무엇보다 서봉총 남분의 둘레돌에서 조사된 큰항아리 안에서 동물 유체(발굴에서 출토되는 동물 생태물로 뼈, 이빨, , 조가비 등을 말함)들이 많이 나와 당시 제사 음식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은 이번 재발굴의 독보적인 성과이다.

 

큰항아리 안에서 종()과 부위를 알 수 있는 동물 유체 7,700점 확인됐다. 이 중 조개류 1,883, 물고기류 5,700점이 대다수이지만 아주 특이하게 바다포유류인 돌고래, 파충류인 남생이와 함께 성게류가 확인됐다. 이밖에도 신경 독을 제거하지 않으면 먹기 어려운 복어도 발견됐다.

 

이번에 확인된 동물 유체들은 신라 무덤제사의 일면을 밝힐 수 있는 정보이기도하지만 당시 신라 왕족들이 아주 호화로운 식생활을 즐겼다는 것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증거이기도하다.

 

조개는 산란기 때 독소가 있어 식용하지 않는 점, 또 많이 확인된 청어와 방어의 회유시기 등을 고려할 때 이들은 대부분 가을철에 포획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함께 이 제사가 무덤 축조 직후에 실시된 점을 고려하면, 서봉총의 남분은 가을에 완성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이는 향후 서봉총 북분과 남분의 주인공을 연구하는 데에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한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앞으로 서봉총의 발굴 성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전시 등으로 공개하고, 학계와 대중에게 신라 왕족의 무덤을 이해하는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도록 연구를 심화시켜 나갈 것이다.”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