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암서원 내 ‘하서유묵 목판’ 등 도난문화재 34점 회수되다
상태바
필암서원 내 ‘하서유묵 목판’ 등 도난문화재 34점 회수되다
  • 정은진
  • 승인 2021.02.03 09: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남유형문화재 제216호 ‘장성필암서원하서유묵목판일괄(56판)’ 중 묵죽도판 (사진=문화재청)
전남유형문화재 제216호 ‘장성필암서원하서유묵목판일괄(56판)’ 중 묵죽도판 (사진=문화재청)

 

문화재청은 서울경찰청과 공조해 2006년 전남 장성군 필암서원 내에서 도난당한 전남 유형문화재 216장성필암서원하서유묵목판일괄(56)’ 묵죽도판(墨竹圖板) 3점을 포함한 총 34점의 도난문화재를 회수했다.

 

문화재청 사범단속반은 20197월 도난문화재 관련 첩보를 입수해 문화재매매업자와 문화재사범을 대상으로 탐문조사를 지속했다. 수사 끝에 단속반은 201911월부터 20202월까지 3회에 걸쳐 도난문화재를 회수했다.

 

이번에 회수한 문화재 중 전남유형문화재 제216장성필암서원하서유묵목판일괄은 필암서원 내 경장각에 보관되던 것으로 조선 중기 인종이 하서 김인후(1510~1560)에게 하사한 3점이다. 선조 1(1568)과 영조 46(1770)에 새긴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군(인종)과 신(김인후)의 이상적인 관계를 널리 알린다는 뜻으로 새긴 것이다.

 

하서 김인후의 초서체 글씨는 당시 성리학자들 사이에 전형적인 글씨로 모범이 됐, 묵죽도판을 통해 판각의 변천양식과 조선사회 생활방식을 파악할 수 있어 문화재적 가치가 높다고 평가된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필암서원이 20197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됨에 따라 이번에 회수한 문화재를 전시나 교육에 활용할 경우, 필암서원의 가치를 보다 높일 수 있어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도 우리 문화의 우수성을 널리 알릴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북 유형문화재 제14호 ‘선운사석씨원류’ (사진=문화재청)
전북 유형문화재 제14호 ‘선운사석씨원류’ (사진=문화재청)

 

함께 회수된 문화재 중 전북 유형문화재 제14선운사석씨원류석가의 일대기와 불법(佛法)을 글과 그림으로 제작한 목판으로 조선시대 삽화 중 걸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1910~20년대 사이 지어진 보은 우당고택(국가민속문화재 134) 무량수각 현판도 회수했다.

 

문화재청은 앞으로도 경찰청과 공조하여 도난·도굴과 해외밀반출 등 문화재 사범을 단속하고 문화재 불법유통을 방지하는 등 문화재의 건전한 유통 질서를 확립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