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를 리모델링 한다(?)
상태바
문화재를 리모델링 한다(?)
  • 관리자
  • 승인 2004.06.21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문화재 수리로 인해 원형을 보존하지 못하는 사례가 늘어 문화재 보수 설계단계부터 보존에 대한 철처한 고증과 해당 관청의 관리, 감독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지정 문화재에 비해 지방 문화재의 경우 원형 보존보다 시간과 비용을 줄이기 위해 현대식 자재를 사용해 수리하는 경우가 흔하다.
인천시 중구 항동에 있는 인천유형문화재 제8호 인천우체국의 경우 보수 공사가 지난해부터 이뤄지고 있으나 형태만 유지할 뿐 내부는 현대식 건축물로 변형됐다.

일제강점기에 지은 근대식 건물로 침략의 역사를 고스란히 담고 있어 당시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자료로 평가받는다.

내부에 있는 아치형의 통로나 우편물 통로 등이 벽돌과 시멘트로 메워져 우체국으로서 특징을 알 수 있는 원형의 모습을 찾아 볼 수 없게 됐다.

시 담당관청이나 수리업체에서도 리모델링이라는 말이 통용될 정도로 내부가 현대식으로 변형됐다.

이병화 인천문화발전연구원 이사장은 “문화재 보수에 대한 개념이 보수 담당자들에게 일반 건축물과 같은 것으로 생각이 통용되고 있다”며 “관리하기 편하게 새로운 자제를 사용해 문화재를 보수하는 것은 이미 문화재로서의 가치를 잃어버린 것과 같다”고 강조했다.

문화재의 원형 보존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것은 근본적으로 수리하는 업체의 비율에서도 나타난다.

문화재수리업체의 경우 문화재청에 등록된 200여개의 업체 중 보수단청업은 117개 업체, 실측설계업은 33개 업체, 조경업은 40여개 업체로 점차 늘어나는 추세다.

하지만 문화재 보존과학 업체는 5곳에 불과하다.

이마저도 보수업체의 하청을 받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필요에 따라서만 끼워넣기 식으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다.

문화재 보존분야가 보수나 건축 시공에 속해 있다보니 설계단계부터 문화재 보존에 대한 고려는 밀려날 수 밖에 없다.

문화재보수수리업체 관계자는 “일반 건축설계사무소에서 문화재 보수에 대한 설계나 계획을 세우다 보니 보수 시공을 하는 첫단추부터 보존에 관한 사항은 빠지고 건축물 보수와 같은 것으로 취급된다”며 “각 시․도 해당공무원의 관심이 없으면 아예 관리 편의 위주로만 공사가 이뤄진다”고 지적했다.

한편 문화재 보존관련 기술자는 전국적으로 업체와 대학, 주무부처에서 20여명에 불과하다.

문화재 건조물 뿐 아니라 매년 발굴되고 있는 매장문화재까지 보존 처리 업무를 하기엔 인원이 턱없이 부족하다.

서정 공주대 보존과학과 교수는 “현재 보존관련 분야의 인원으로는 각 대학이나 문화재연구소에서 발굴한 문화재, 건조물 등을 보존처리 하려면 백년 이상해도 모자란다”며 “현실적으로 보존분야가 크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교수는 또 “비용과 시간이 들더라도 제대로 된 복원을 하려면 설계단계부터 보존분야에 대한 검증이 진행돼야 한다”며 “건축과 보수, 보존 분야가 일괄적으로 시공돼야 효율적”이라고 강조했다.

문화재연구소, 국립중앙박물관 등 주무부서에서도 보존과학이 도입되기 시작한 30년전 보다 기술은 발전했으나 체계적으로 별반 달라지지 않았다.

김용한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실장은 “보존과학 분야의 지원이 낮다고 볼 수는 없지만 시스템을 개선할 필요가 있어 문화재청과 협의하고 있다”며 “보수와 보존에 대한 개념을 확실히 구분해서 시공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문화재 수리로 문화재가 재파괴되는 것을 막기 위해 문화재청과 각 시도 해당관청, 보수업체 관계자들의 문화재 보존에 대한 의식이 자리잡고 보다 철저한 관리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