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청(전 문화재청) 혁신 변화에 따른 대국민 토론회 개최
상태바
국가유산청(전 문화재청) 혁신 변화에 따른 대국민 토론회 개최
  • 이경일
  • 승인 2024.08.23 11: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회 민주당 민형배 의원실 주최 10월 4일 헌정 기념관 대회의실에서

국회 민주당 민형배 의원실에서는 107일로 예정된 22대 국회 국정감사를 대비하여 104일 국회 헌정기념관 회의실에서 각계전문가를 초청하여 대한민국의 근간인 문화유산을 대하는 국민적 인식 제고를 위한 토론회를 개최한다.

 

특히 국가유산청(구 문화재청)’의 조직 변화에 따른 대국민 토론회를 통해 국보, 보물 등 문화유산에 대한 보전, 보수, 수리의 새로운 규정을 만들 필요가 있다는 국민적 의견에 공감하면서 보수수리 입찰기준을 정한 종심제(종합심사제)의 문제, 고임금의 수리 기술자 보유 문제, 기능인 상시 고용 문제 등을 비롯한 제도적으로 미비한 수리법 개정에 착수한다.

 

문화유산 수리 기술법은 전통 기능을 후손에게 전수하고자 하는 목적도 가져야 하지만, 작금의 모든 품셈에 기계화를 요구하고 있는 현실은 전통 기능의 전수를 저해하는 가장 큰 요인이다. 문화유산 보수수리업의 일을 기계 품셈으로 규정하고 절삭기를 이용한 기계 치목을 요구하는 규정은 문화유산 전통 기능의 발전과 도약을 국가유산청이 나서서 말살하는 정책으로 문화유산 보수수리업계의 존속과 관계된 업계 전반의 심각한 문제이다.

 

대전정부청사 안내도 내 국가유산청(사진=국가유산청)
대전정부청사 안내도 내 국가유산청(사진=국가유산청)

 

특히 전통 기능을 배우고자 하는 부여의 국립 전통대학교의 존립을 의심케 하는 행정은 학생들의 집단적인 반발로 이어지고 있다. 기능인이 점차 사라지는 마당에 기계 품셈을 강조한다면 우리의 전통은 사라지고 말 것이다. 누가 손으로 직접 대패질을 하고 그렝이질을 할 것인가? 라고 민형배 의원은 자문한다.

 

전통 장인의 기능 전수는 우리 시대에 당면한 과제이다. 편리함과 기계에 익숙해진다면 손으로 빗고 다듬는 우리 고유의 전통 기능은 설자리를 잃고 사라지고 말 것이다. 지금 문화유산 보수 현장에는 한국인보다 암암리에 활동하는 외국인 근로자가 더 많다는 사실이 이를 반증한다.

 

국가유산청은 백 년 앞을 내다보는 현실적인 보수수리 현장의 고민이 없다는 게 민형배 의원의 생각이다. 대책을 만들지 못하고 더 지체했다가는 훗날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을 외국 인력의 손에 맡겨야 할지도 모른다.

 

우리나라에는 대한민국의 역사, 전통, 문화 그리고 슬기로운 조상들의 정신을 숭상하고 이를 지키려는 사람들이 많다. 문화 관련 학과의 학생들과 국립전통대학교의 학생들부터 현장에 있는 기능인들, 그리고 담당 공무원들과 국회의원들까지. 이들을 통해 우리의 문화유산을 우리 스스로가 보전하고 후대로 전해줄 수 있도록 관계자들의 적극적인 소통이 필요하고, 관계자를 떠나서 모든 국민의 관심이 필요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