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문화유산_국가무형문화재 제33호 광주칠석고싸움 1편
상태바
한국의 문화유산_국가무형문화재 제33호 광주칠석고싸움 1편
  • 관리자
  • 승인 2017.12.29 10: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CPN문화유산이 수주 제작한 2017한국문화재재단 문화유산채널 '정보콘텐츠 제작용역' 영상물입니다.

<타이틀>
내 고장 무형유산 광주칠석고싸움 놀이 (전남 광주)
제1부 고싸움, 상투에 바늘 꽂고

<인트로>
골목으로 쏟아져 나오는 윗마을과 아랫마을 아이들.
여럿이서 고를 메고 나오는 폼이 제법 비장하다.
정월 대보름. 옻돌 마을에선 큰 싸움판이 만들어진다.
윗마을인 동부와 아랫마을인 서부가 겨루는 한판 승부, 고싸움.
농악대의 흥겨운 가락을 따라 고는 점점 더 높이 올라가고 고싸움놀이판은 흥분과 전의로 불타오른다.

[자막]광주칠석고싸움놀이 전수회관 광주광역시 칠석동
[자막]광주칠석고싸움놀이 국가무형문화재 제 33호
짚을 주재료로 하여 만든 고를 놀이 기구로 하여 승부를 겨루는 놀이로
고싸움은 고와 싸움의 복합어로 두 개의 고가 서로 맞붙어 싸움을 한다는
의미이다.
고 위 에 앉아 싸움을 총지휘하는 줄패장과 고를 메는 고멜꾼, 농악대로
구성되며 상대방의 고를 덮쳐 땅에 닿게 하는 팀이 승리하게 된다.
고싸움놀이는 한국의 대표적인 편을 나눠 승부를 내는 집단 놀이로
협동심과 단결심이 강하게 반영된 공동체적인 세시 민속놀이다.
또한,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는 주술적이고 종교적 의미를 담고 있는
호남 지역의 대표적인 무형유산이다.

이 후 칠석마을 사람들은 정월대보름이면 많은 사람들이 마을의 터를 밟아주기 위해 고싸움놀이를 시작했다고 한다.

[자막]고
고싸움의 고는 옷고름이나 노끈의 한 가닥을 길게 늘여서
둥그런 모양을 맺은 것을 뜻함.
고싸움놀이의 '고'는 옷고름, 고맺음 등에서 온 말로 한 가닥을 길게 빼어 둥근 모양을 맺은 것을 뜻한다.
고싸움놀이는 두 편으로 나뉘어 진행되는데 고 위에 올라탄 줄패장의 지휘에 따라 움직이며 상대의 고를 덮쳐서 땅에 닿게 하면 이기는 놀이이다.
논농사를 짓는 칠석마을은 평야에 비해 물줄기가 굉장히 작다.
1주일만 비가 오지 않아도 굉장히 가물어 농사에 애를 먹었다고 한다.
그래서 칠석마을 사람들은 고싸움을 통해 이긴 마을이 먼저 물을 대는 풍습이 있다. 또한, 동부마을은 남자를 서부마을은 여자를 상징하는데, 예로부터
서부마을이 이겨야 마을에 풍년이 든다고 전해져 오고 있다.
고싸움에서 이기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고의 크기가 중요하다.
예전에는 상대팀의 고의 크기가 어느 정도인지 알아보기 위해 몰래 염탐꾼을
보낼 정도였다고 한다.

칠석고싸움놀이는 한국의 대표적인 집단 민속놀이로 88올림픽 당시 식후행사에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전통놀이로 당당히 참여를 했다.
고싸움놀이가 가진 화합과 단결의 의미가 남북한은 물론 전세계인의 화합이라는
올림픽정신과 딱 맞아떨어졌기 때문이다.
오래도록 마을과 함께하며 마을을 하나로 이어주고 서로간의 화합을 만들어준 고싸움. 그렇기에, 칠석마을사람들에게 고싸움은 단순한 놀이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자막]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던 광주칠석고싸움놀이
새해 첫 보름달을 향해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는 광주칠석고싸움놀이.

[자막]삶의 지혜와 공동체 문화가 담긴
소중한 문화유산
광주칠석고싸움놀이는 단순히 승패를 가르는 싸움이 아니라
윗마을 아랫마을 모두가 함께하며 조상의 삶의 지혜와
진정한 공동체 문화를 만들어가는 우리의 소중한 무형유산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