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비정신이 담긴 조선시대 누정(樓亭), ‘보물’ 된다!
상태바
선비정신이 담긴 조선시대 누정(樓亭), ‘보물’ 된다!
  • 임영은 기자
  • 승인 2019.11.14 15: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방 누정 문화재 10건, 보물로 신규 지정!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6호 강릉 경포대 전경>▲(사진=문화재청)


문화재청은 총 10건의 지방 누정 문화재를 보물로 14일 지정 예고했다.

누정은 누각과 정자를 일컫는다. 누각은 다락구조로 높게 지어진 집이고, 정자는 경관이 수려하고 사방이 터진 곳에 지어진 집이다. 특히, 조선 시대의 누정은 선비정신을 바탕으로 고도의 집약과 절제가 새겨진 건축물이다. 자연을 바라보고 자연과 인간의 문제를 깊이 있게 생각하며 시와 노래를 짓던 장소였다.

해당 누정은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6호 「강릉 경포대」, 경북유형문화재 제46호 「김천 방초정」, 경북유형문화재 제147호 「봉화 한수정」, 경북유형문화재 제183호 「청송 찬경루」, 경북유형문화재 제199호 「안동 청원루」, 경북유형문화재 제200호 「안동 체화정」, 경북민속문화재 제94호 「경주 귀래정」, 대구시 유형문화재 제36호 「달성 하목정」, 전남기념물 제104호 「영암 영보정」, 전북문화재자료 제16호 「진안 수선루」다.

「강릉 경포대」는 정철의「관동별곡」이후 조선 시대를 대표하는 수많은 시인 묵객들의 문학작품에 소재가 되었던 공간이다. 경포호의 수려한 자연경관과 조화가 돋보이는 관동팔경의 제일경으로, 강릉 지역의 유구한 역사와 삶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 500년 이상 원래의 자리를 지키고 있으며, 뛰어난 경관의 조망성을 강조하기 위해서 마루를 3단으로 구성했다. 특히, 누마루를 2단으로 구성한 정자는 유래를 찾아 볼 수 없을 정도로 독특한 구조다.

 

<경북유형문화재 제46호 김천 방조청>▲(사진=문화재청)


「김천 방초정」은 영·정조 때 영남 노론을 대표하는 예학자로「가례증해」를 발간한 이의조가 1788년 중건했다. 보통 누정은 자연의 경관 조망과 관찰자를 매개하기 위하여 사면이 개방된 구조이지만, 방초정은 계절의 변화에 대응하여 마루와 방을 통합하거나 분리하는 가변적인 구성을 가졌다.

「청송 찬경루」는 세종대왕의 비인 소헌왕후 심씨와 청송심씨 가문의 영향을 받아 지어진 관영 누각으로 중수기와 중건기, 상량문, 시문 등에 창건과 중건 과정뿐만 아니라 수차례의 공사 기록이 잘 남아 있다. 밀양 영남루, 진주 촉석루, 울산 태화루 등은 사찰 누각에서 성격이 변한 누각이지만 찬경루는 처음부터 객사의 부속 건물로 객사와 나란히 지어진 현존하는 유일한 관영 누각으로 의미가 있다.

「안동 청원루」는 경상도 지역에서 드물게 ‘ㄷ’자 평면구성을 띠는 매우 희귀한 정자형 별서 건물이다. 17세기 향촌사회 유력 가문(서인 청서파의 영수 김상헌)의 건축형태를 엿볼 수 있는 시대성과 계층성이 반영된 연구자료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경북유형문화재 제200호 안동 체화정>▲(사진=문화재청)


「안동 체화정」은 다른 곳에서는 보기 힘든 독특하고 창의적인 창호 의장 등에서 18세기 후반 조선 후기 목조건축의 우수한 수준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정자의 전면에 연못과 세 개의 인공 섬을 꾸미고 적극적으로 아름다운 경치를 조성하여 조경사적인 가치도 높다.

「경주 귀래정」은 전통건축에서는 사례를 찾아보기 힘든 파격적인 방식으로 육각형 평면에 대청, 방, 뒷마루, 벽장 등을 교묘하게 분할하였으며, 특이한 지붕형식과 섬세하고 아름다운 세부 양식 등을 보여주고 있는 정자다. 육각형 평면형태의 누정도 희소가치가 높다.

「달성 하목정」은 인조가 능양군 시절 방문했던 인연으로 왕이 된 이후에 은 200냥의 내탕금(임금이 개인적으로 쓰던 돈)을 하사하여 지붕에 부연(처마를 길게 빼기 위해 서까래 끝에 덧대는 짧은 서까래)을 달게 하고 ‘하목정’ 이라는 당호를 친히 지어 내려준 역사적으로 의미 있는 정자다. 전체적인 가구의 구성은 두꺼운 부재를 사용하면서도 건물 높이를 높게 하여 건물이 둔중해 보이지 않으면서 당당한 기품을 지니고 있으며, ‘丁’자 형의 평면구성도 독특하다.

 

<경북유형문화재 제147호 봉화 한수정>▲(사진=문화재청)


「봉화 한수정」은 안동권씨 판서공파 후손인 충재 권벌로부터 그의 아들 청암 권동보와 손자 석천 권래에 이르기까지 3대에 걸쳐 완성된 정자로 초창(1608년)에서 중창(1742년), 중수(1848년, 1880년) 과정에 대한 기록이 고스란히 남아 있어 역사 가치가 크다. 또한, 용연과 초연대(정자와 연못사이에 있는 바위), 각종 수목이 어우러진 정원은 초창 이후 400년의 역사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으며, ‘丁’자형 평면구성과 가구법은 다른 지역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독특한 형식이다.

「영암 영보정」은 1635년경에 중건된 오랜 건립 역사를 가지고 있다. 조선 시대 향촌의 향약, 동네 계 관련 정자 중에서 큰 규모(정면 5칸, 옆면 3칸)다. 전란 이후 어려운 여건 속에서 비교적 양질의 자재를 사용하고 전체적인 비례와 조형감은 물론, 세부 구조 설계 측면에서도 완성도가 높다.

「진안 수선루」는 지금까지 보아 왔던 누정과 달리 아주 특별한 모습으로 거대한 바위굴에 딱 들어맞게 끼워 넣듯이 세워져, 보는 이의 눈과 마음을 단번에 사로잡을 정도로 특이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자연 암반의 형태를 그대로 살려 세워졌으며, 자연에 일체화시킨 자유로운 입면과 평면의 조합은 당시 획일적인 누정건축의 틀에서 벗어나 자연과 누정을 어떻게 조화시키고 있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이번 문화재 지정은 시·도의 건조물 문화재 발굴 정책사업의 하나다. 지난해부터 시·도 지정문화재(유형문화재, 민속문화재, 기념물)와 문화재자료로 등록된 총 370여 건의 누정 문화재에 대해 전문가 검토를 거쳐 총 14건을 국가지정문화재 검토 대상으로 선정했다. 이후 최종적으로 10건을 보물로 신규 지정하게 됐다.

문화재청 유형문화재과 정종익 계장은 “발굴 정책 사업으로 누정이 먼저 선정된 이유는 건조물 문화재(국가문화재기준 187건) 중에서 가장 지정 건 수가 적으며(22건), 지원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선정된 지방 문화재 누정 중 경상도의 비중이 높은 이유는 총 누정문화재 중 절반 이상(180여 건)이 위치해 있고, 사림 문화가 발달했었기 때문에 문화재의 다양성이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또한, “시·도지정 문화재 발굴 사업은 누정 외에도 상대적으로 지정 수가 부족한 사묘대신, 서원, 향교, 관아 건축물 등으로 차차 진행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취재팀 임영은
lzs0710@icpn.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