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르침과 배움의 어제와 오늘
상태바
가르침과 배움의 어제와 오늘
  • 이경일
  • 승인 2020.02.13 13: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통치교육에서 공존교육까지

유교경전을 공부하는 형태로 고대부터 국가가 만든 학교의 주요 교과로 유교는 자리매김 되었습니다. 왕 중심의 지배 질서 유지를 지향한 고대국가 입장을 대변할 수 있는 통치 이데올로기로, 또 관리들의 기본 소양을 갖출 수 있는 체계화된 논리성이 유학을 채택한 이유입니다.

 

 

고구려는 4세기 국립교육기관 태학에서 유교경전을, 5세기 지방에 설치된 학교, 경당에서 한학을 가르쳤습니다. 백제의 5경 박사제도와 신라 화랑도의 세속오계에도 유교 관련 내용을 찾을 수 있습니다. 신라 신문왕은 국학을 설치하여 유교 경전을 교육하고, 유교를 정치 이념으로 삼았습니다.

 

조선 시대에는 사농일치의 교육제도를 바탕으로 교육 기회가 양인 전반에 확대되었고, 수령의 주요 역할 중 하나가 교육 진흥이었습니다. 고종 황제는 교육에 대한 관심을 실천하기 위해 한성사범학교와 외국어학교 관제를 공표하고, 경성의학교, 철도학교, 광업학교, 상공학교, 광무학교, 한성학교 등 중등교육기관을 설립했으며, 유학생을 파견하여 선진 문물을 습득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일제 강점기에는 해외에서 독립을 쟁취하기 위해 신흥무관학교, 서전서숙, 비행학교 등을 설립하여 운영하였습니다. 국내에서는 일본의 식민지 교육에 반발하여 야학 중심의 민족 교육, 문맹 퇴지 운동을 실시해 민중들을 계몽하고자 했으며, 조선교육회를 중심으로 민립대 설립 운동을 전개해 민족을 이끌어 갈 지도자들을 양성하고자 노력했습니다.

 

역사적으로 교육은 교육활동이 펼쳐지는 해당 시기에 강조되는 이데올로기와 지배층을 중심으로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배경을 반영하여 전개되었습니다. 지금은 인간과 자연이 더불어 살아가는 세계, 창의 융합형 인재 양성, 개인의 핵심 역량 강화를 추구하는 시대입니다. 개인이 지닌 역량과 지식을 체계화하여 다양한 형태로 전승하고, 강화하여, 모두와 공유하며 인간과 자연이 함께 하는 가르침과 배움이어야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