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5년 만에 추진되는 세계유산 ‘고령 지산동 고분군 5호분’ 발굴
상태바
85년 만에 추진되는 세계유산 ‘고령 지산동 고분군 5호분’ 발굴
  • 조은희
  • 승인 2024.06.12 09: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 고령군과 발굴조사 협력 위한 업무 협약 체결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가 고령군과 612일 오전 11시 고령군청에서 고령 지산동 고분군 5호분 발굴조사를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한다.

 

고령 지산동 고분군 5호분 원경(출처=문화재청, 고령군 제공)
고령 지산동 고분군 5호분 원경(출처=문화재청, 고령군 제공)

고령 지산동 고분군은 대가야의 최고 지배층의 무덤군으로 알려져 있으며, 지난해 9월 가야문화권의 6개 고분군과 함께 가야고분군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이번에 발굴조사를 추진하는 고령 지산동 5호분은 영·호남지역 가야 고분 중에서도 최대급에 해당하며, 조선 시대에 간행된 지리서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 금림왕릉이라고 전하고 있다. 일제강점기인 1939년 아리미쓰 교이치, 사이토 다다시에 의해 발굴조사가 실시되었으나, 간략한 조사내용과 조사하는 모습, 출토유물이 담긴 사진 몇 장만이 전해지고 있다.

 

이번 업무협약을 시작으로 85년 만에 다시 실시되는 이번 발굴조사는 2026년까지 봉토와 매장주체부, 무덤 주변부에 대한 정밀발굴조사를 진행하고, 이를 기반으로 2028년에는 조사내용과 출토유물을 수록한 발굴조사보고서를 발간할 예정이다. 다양한 분석을 통해, 관련 기록이 적어 베일에 싸여 있던 대가야의 고분축조 기술과 매장 의례 등도 밝혀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는 앞으로도 국내외 다양한 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고령 지산동 고분군을 비롯한 대구·경북지역의 문화유산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연구를 수행하고 그 성과를 지속적으로 국민에게 알려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